반응형
▒ CSS 단위 px pt em rem % 란 무엇이며 차이점은?
CSS에서 사용하는 단위는 font-size, text-indent, line-height, width, height, padding 등 크기를 나타내는 값에 쓰인다.
크게는 절대 크기가 변하지 않는 절대 단위와 상황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상대 단위로 나뉜다.
■ 절대단위
고정된 값을 출력하며 절대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.
이 방법은 크기가 가변적인 웹사이트가 아닌 경우에는 유용하나, 반응형 사이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.
※ px (픽셀) 값을 주로 사용한다.
cm (센티미터) | mm (미리미터) | in (인치) |
px (픽셀) | pt (포인트) | pc (파이카) |
■ 상대 단위
부모 요소나 다른 요소의 크기에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크기가 변한다.
반응형 웹사이트를 작업할 때 주로 사용한다.
※ em, rem, % 값을 주로 사용한다.
em | 부모 요소의 크기의 영향을 받아 크기가 변함 |
rem | 최상위 요소인 html요소의 크기의 영향을 받아 크기가 변함 (익스 9.0이상 부터 지원) |
% | 부모 요소의 크기의 영향을 받아 크기가 변함 |
vw | viewport width의 약자 / 80vw="뷰포트 영역의 80%" (익스 9.0이상 부터 지원) |
vh | viewport height의 약자 / 80vh="뷰포트 영역의 80%" (익스 9.0이상 부터 지원) |
vmin | 뷰포트의 최소값 / 설정한 viewport값에 따라 변함 (익스 12.0이상 부터 지원) |
vmax | 뷰포트의 최대값 / 설정한 viewport값에 따라 변함 (익스 12.0이상 부터 지원) |
em은 부모 크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파악하기 쉽지 않을 수 있으며 미디어 쿼리 작성 시 여러 요소를 수정해야만 한다.
그러나 rem은 최상위 요소인 html의 요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미디어쿼리 작성 시 이 요소의 크기 하나만 변경하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변한다.
그래서 반응형 웹사이트를 제작할 때 rem을 주로 사용한다.
html {font-size:62.5%}로 설정하면
16px=1.6rem
18px=1.8rem
이런 식으로 사용하기 편하다.
* 픽셀/em/퍼센트/포인트를 계산해 주는 사이트 http://pxtoem.com
* rem을 계산해 주는 사이트 https://offroadcode.com/rem-calculator
예제파일↓
'웹:WEB > 유용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 태그 사이 공백 제거하는 방법 (0) | 2020.03.17 |
---|---|
복잡한 표 <table> 코딩 쉽게 하기 (0) | 2020.02.02 |
제이쿼리(jQuery) 선택자 종류 (0) | 2020.01.23 |
HTML 페이지에 아이콘 넣는 방법 (fontawesome) (0) | 2020.01.22 |
DIV 레이어 가로 세로 가운데 정렬 하기 (0) | 2020.01.20 |